본문 바로가기
교육기록/2023

[수행] 비판적 읽기를 통한 독후 논설문 쓰기 (3) 독서 후 질문 만들기

by ziyeah 2023. 7. 1.
반응형

앞서 3차시에 걸쳐서 학생들이 각자 자신이 고른 책을 읽고 독서발자국 쓰기를 완료했다.

그 다음으로 진행한 것이 바로 '독서 후 질문 만들기'이다. 소설을 비판적으로 읽기 위해서는 책의 내용을 읽고 적절한 질문을 생성하고 스스로 답을 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네 가지의 질문 유형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각자 질문과 답을 달 수 있게 지도했다.('질문이 있는 서울형 토론 모형 2.0'을 참고했다!)

 

네 가지 질문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을 확인하는 질문이다. 이는 작품 이해에 중요한 내용을 확인하는 질문을 의미한다.

둘째, 내용을 분석하는 질문이다. 이는 작가의 의도, 작품 전체의 의미, 작품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확인하는 질문을 의미한다.

셋째, 내용을 논평하는 질문이다. 이는 작품의 내용에 대해 논리적으로 평가하는 질문으로, 보통 '~이 옳은가? 합당한가? 정당한가?' 류의 서술어로 끝나는 질문이다.

넷째, 삶과 연결된 질문이다. 이는 작품과 관련하여 나, 혹은 우리 사회와 연결되는 질문으로, 추후 독후 논설문을 쓰기 위해서 제일 심혈을 기울여 작성해야 하는 질문이다.

 

학생들이 활동을 잘 이해하게 하기 위해 각 소설별로 한 개씩의 예시자료를 제공했다.

예시자료를 봤는데도 '내용을 논평하는 질문'과 '삶과 연결된 질문'에 대해 스스로 질문을 만들기가 어렵다고 하는 학생들이 몇몇 있었다. 이 학생들에게는 선생님의 질문까지는 copy가 가능하지만, 답변 내용은 달라야 한다고 안내했다. 같은 질문일지라도 답변이 다양해질 수 있다고 생각하여 내린 해결책이었는데, 활동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보려고 노력하는 학생들이 많아질 수 있는 적절한 해결책이었다.

 

아래는 실제 활동지 양식과 학생들에게 제공한 예시자료이다.

 

<실제 활동지 양식>


<1의 들러리 예시자료>


<내 친구는 슈퍼스타 예시자료>


<봉주르 뚜르 예시자료>


<우연한 빵집 예시자료>


<페인트 예시자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