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기록

생각 중심 교육(박주용)_제2장 2~4절

by ziyeah 2022. 10. 2.
반응형

 

제2장 증거에 기반한 학습과 교육 연구의 주요 성과

 

2절 학습 방법과 학습 실태 연구

-왜 학생들은 효과적인 학습법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일까?

1) 동기 부족

-우리 뇌는 생존과 번식을 위해서이지 진리를 탐구하기 위해 진화한 것이 아니다.

2) 지식 부족

-학생들은 물론 가르치는 사람들도 효과적인 학습법 관련 지식들이 부족하다. 그저 열심히 하면 된다고만 생각.

모두가 학습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겠지만 적어도 가르치는 사람들은 지금보다는 학습이나 기억의 원리에 대해 더 잘  알아야..! 강의 중심 수업이 유지되는 이유는 교수법에 대한 교수자의 무관심과 무지일 가능성이 높다.

+개인적으로는 교사의 의지 부족 문제가 더 크다고 생각. 교사도 강화가 필요한 존재.ㅠ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외워서는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려운 방식'으로 평가를 바꾸지 않고서는 보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학습하는 것을 경험하게 하기 어렵다.

역시 평가가 관건이자 걸림돌이네.

3) 훈련 부족

-인격의 훈련은 다름 아닌 좋은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지금으로서는 학습 유형을 찾아내고 그에 맞추려하기보다는 바람직한 공부 습관을 들일 수 있도록 효과적인 학습법을 여러 개 시도하고, 몇 가지 변형을 시도하는 가운데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는 것이 더 현명해 보인다.

->담임교사가 조종례 때 꾸준히 여러 학습법을 소개해 주어 학생들의 노출도를 높이는 것

 

‘Carpe Diem 학교' 학생들의 거의 모든 활동을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관리.

모든 학생은 자기가 선택한 과목을 수준에 맞는 진도로 개별적으로 공부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강의가 없다

미국의 애리조나주에서 시작, 확산됐는데, 얼마나 성공할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

왜 2011년 이후에 그 어떠한 자료도 없을까?

 

역전학습(온라인학습+면대면 수업 / 미리 동영상으로 개념 학습 후 대면 수업에서는 문제풀이 활동이나 학생들 간 토론)을 가로막는 요인들에는..?

-학생들의 낮은 참여도

-교사의 낮은 의지(교사도 강화가 필요한 존재ㅠ) 교사가 진짜 갈려나갈 듯...

 

4절 능동적 학습과 그 하위 유형 등

-변형된 강의 전략: 시험과 쪽지시험 보기, 시연하기, 학생들에게 질문을 만들게 하기, 짧은 강의에 이어 두 명씩 짝을 지어 토론하고 다시 짧은 강의가 이어지는 대안적 강의하기

-질문과 토론 전략: 수업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기, 토론 자료를 제공하기,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질문을 던지기

-기타 전략: 수업시간에 글쓰기, 문제해결, 협동학습, 논쟁하기, 역할극 수행 등

내년에 수업할 때 잘 써먹어봐야겠다..!!!!

 

요컨대 학습의 목표를 이해에 두기보다는 이해를 기반으로 적용과 비판 그리고 창조의 세계로 나아가자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지금의 우리 교육에는 이런 부분이 빠져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