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사연수/2022

(연수준비2)변화하는 사회에서의 역량(역량의 창조)

by ziyeah 2022. 10. 13.
반응형

1.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로 인한 민주시민 역량 함양을 위하여 어떤 교육을 해야 하는가?
-‘다름’이라는 개념의 일반화, 보편화
-다른 사람의 처지를 역지사지로 상상하고 이해하는 능력
-공동체의식
-자유에 대한 개념 이해, 삶 속 실천(다원주의에도 필요)
ex) 언론의 자유, 결사의 자유, 양심의 자유, 정치에 참여할 기회(p133)

2. 바람직한 역량을 키우기 위한 개인의 노력은 무엇이며, 국가의 의무에는 무엇이 있는가?
1) 개인의 노력
-독서
-습관(국부론 초반에서 스미스는 습관과 교육이 인간능력 형성에 심대한 영향을 준다고 강조)
2) 국가의 의무
-개인의 역량 강화를 목표로 정한 사회라고 해도 역량 실패에 대해서만큼은 집단 중심적 처방(p122)(정부의 적극적 개입)
-정책/제도 측면!
--인도의 점심급식제도, 여성의석 의무할당제처럼
--개인의 자유 보장을 목표로(언론, 결사, 양심, 정치 참여 등)
① 교육
-교육: 단기적 실행이 불가하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중장기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 그것이 당장은 고육지책이더라도..!
② 결과의 평등 / 사회적 약자 지원 / 사회 복지 / 보호
(스미스가 말하길, 국가가 국민, 특히 가난한 국민의 교육을 책임져야 한다고 함)
-보호(의무교육제도, 가난한 가정 어린이의 교육에 대한 지원, 차별에 취약한 소수자 보호 정책 수립 등)
③기업 관련: 이윤 추구와 사회적 책임이 함께 가게.
예컨대 사회적 책임을 이행할 경우 자금 지원 등의 보상

3. 역량을 키우기 위하여 교육의 역할은 무엇이며 교실에서 교사가 어떤 교육을 해야 하는가?
1) 교육의 역할
안전한 환경, 선택의 기회

2) 교실에서 교사가 어떤 교육을 해야 하는가?
생각 필요!!! 1) 교육의 역할의 각각의 항목을 구체화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생각해보자.
① 최소한의 지식, 교양 교육
ex) 세계의 역사, 맞춤법 등
② 바람직한 가치관(실천이성 역량)
ex) 돈보다 중요한 것들, 자기 자신을 포기하지 않기 등
③ 관계 역량-모든 역량이 잘 구현되기 위한 전제조건
관계역량이 생산적 결과를 낳는다. 고립된 처지에서는 그 어떤 역량도 실현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교육의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때. 지식 주입식 수업 말고, 놀이를 결합한 활동 등 학생 참여형 수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