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업진도표란 무엇일까?
말 그대로 수업의 진도를 기록해놓는 표이다. 각 반별로 교사가 어디까지 진도를 나갔는지 적어 두는 것으로, 이는 다음번의 수업을 계획하는 데에 요긴하게 활용된다.
2. 수업진도표, 왜 필요할까?
수업 전 하나부터 열까지 시뮬레이션을 철저하게 해도, 실제 수업에서는 예상치 못한 변수들이 많이 발생한다. 대표적인 예가 반별 분위기이다. 1교시에 들어간 반에서는 학생들의 참여가 활발해서 수업이 매끄럽게 진행되더라도, 2교시에 들어간 반에서는 학생들이 입을 잘 열지 않아 참여를 독려하느라 수업이 천천히 진행된다. 그러다보면 1교시 반과 2교시 반의 수업 진도에도 차이가 생기게 된다.
반별 분위기뿐 아니라 어찌할 수 없는 환경 조건들도 수업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4교시에 들어간 반에서 갑자기 빔프로젝터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하필 그때 준비한 수업에 시청각자료가 필요한 상황이었다면? 극단적인 경우 한 차시 수업을 통으로 날려버릴 수도 있다.
어찌 됐든 다양한 상황으로 인해 각 반별로 수업 진도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반별로 달라진 진도를 교사가 기억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될까? 매 수업 시작할 때마다 맨 앞에 앉아있는 학생에게 “저번 시간에 우리가 진도를 어디까지 나갔니?”라고 물어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앞자리의 학생이 대답을 잘 해주면야 다행이지만, 이렇게 학생에게 의존하며 수업 진도를 나가다보면, 극단적 경우에는 지필고사에 출제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빼먹을 수도 있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죄 없는 학생들에게 돌아가고, 교사가 느낄 죄책감과 자괴감은 치명적일 것이다.
수업은 학생과 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라지만, 적어도 수업 진도에 있어서만큼은 교사가 책임을 지고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수업진도표’이다.
3. 수업진도표, 어떻게 만들면 될까?
수업진도표를 작성하는 목적은, 각 반별로 상이한 수업 진도를 기록해두어 다음 차시의 수업을 잘 준비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전 작업이 필요하다.
사전작업1> 학사일정을 파악하기
나의 경우 수업진도표를 1년에 4번 작성한다. 그 기준은 지필평가 시행시기이다. 1차 수업진도표는 1학기 중간고사까지, 2차 수업진도표는 1학기 기말고사까지, 3차 수업진도표는 2학기 중간고사까지, 그리고 4차 진도표는 2학기 기말고사까지이다.
1차 수업진도표를 짠다고 가정해 보자. 1학기 중간고사가 4월 말에 실시된다고 하면, 그 전까지 학사일정을 보며 수업이 빠지거나 시간표가 변동되는 때가 언제인지 체크해야 한다. 확인해보니 우리 학교의 경우 3월 23일(목)에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진행되어, 이 날에는 수업이 진행되지 않는다. 그러면 진도표 옆에 그 내용을 메모해둔다. 만일 3월 31일이 금요일인데 이때 수요일 시간표로 수업이 진행된다면? 그 내용도 써두면 된다.
사전작업2> 각 반별 수업 차시 파악하기
학사일정을 파악했다면 이제 1학기 중간고사 전까지 각 반별로 몇 번 수업이 있는지 세어볼 차례이다. 나의 경우 표를 만들어, 맨 위에는 날짜와 요일을 쓰고 아래에 빈칸을 만들어 두었다. 아래에서 이야기하겠지만 이 빈칸에는 향후 수업의 실제 진도를 기록해두면 된다.
아, 아래의 이미지에서 가로로는 차시 순서를, 세로로는 반 이름을 써둔 것이다.
4. 사전작업 완료 후, 실제로 수업진도표를 어떻게 활용하면 될까?
이제 이 수업진도표는 수업을 하는 내내 소중하게 가지고 다니면 된다. 그러면서 각 반 수업이 끝날 때마다 해당 날짜 아래에 어디까지 진도를 나갔는지 간단하게 기록해 둔다. 그러면 그 다음 수업 때 학생들에게 진도를 물어볼 필요 없이, 교사가 진도를 확실하게 관리할 수 있다.
5. 수업진도표 활용의 효과는 무엇일까?
첫째, 전반적인 수업 계획 수립이 가능하다.
수업진도표 사전작업을 거칠 경우, 지필평가 전까지 각 반별로 수업이 몇 번 있는지 알 수 있다. 자연히 수업이 제일 많은 반과 제일 적은 반이 드러난다. 이럴 경우 수업이 제일 적은 반을 기준으로 하여 수업 계획을 짜면 된다. 지필평가가 공정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교사가 챙겨할 것 중 하나는, 모두에게 공평하게 같은 내용을 가르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수업이 제일 많은 반을 기준으로 수업을 계획한다면, 수업이 적은 반 아이들이 불이익을 입기 십상이다.
둘째, 반별 진도를 확실하게 관리할 수 있다.
위에서도 여러 번 언급했듯이, 수업진도표를 활용하면 학생들에게 수업진도를 물어보느라 시간과 에너지를 허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수업 내용 중 일부를 빼먹는 일도 거의 없어진다. 더불어 학생들도 수업 진도를 확실하게 알고 자신있게 수업을 진행하는 선생님을 더 신뢰한다. 교사의 실력에 대한 학생들의 신뢰감 형성은 교사가 수업을 자신있게 진행하는 데에도 큰 동력이 된다.
6. 내가 활용하는 수업진도표 양식을 첨부한다. 필요한 분들은 적절히 변용하여 활용하시길!
'교육기록 > 기본 수업 자료_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공유] 알고 챙기자, 교사 월급(자료집 pdf 파일) (0) | 2023.10.04 |
---|---|
저작권을 지키는 학교 안심폰트 다운로드 방법 (3) | 2023.09.30 |
[수업꿀팁] 유용한 물품 정리 (0) | 2023.03.14 |
[첫 수업 자료] 국어반장 서약서 (0) | 2023.02.27 |
국어과 학습지 양식 (0) | 2022.10.02 |
댓글